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max_execution_time
- ssh접속
- VirtualBox
- Filter Reference login errors
- login custom error message
- ifconfig
- 고정아이피
- web cache
- 30 seconds exceeded
- git
- revert
- 도커
- PHP Time Limit
- CentOS
- laravel
- virtualbox 리눅스 설치
- Maximum execution
- git log
- 도커 컨데이너 빌드업
- virtualbox centos 설치
- IaaS
- PaaS
- fatal error
- Reset
- php
- Client Caching
- login error message
- ssh
- virtualbox 설치
- Git Bash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laravel (1)
JB`s 개발이야기

Laravel 공부를 하다가 그동안 캐쉬에 대해 나왔는데 그동안 막연하게 캐쉬캐쉬 거렸지. 정확하게 알아갈 기회가 없었던 것 같다. 그래서 마침 Laravel에 클라이언트 측 캐싱에 대해 잘 설명되어 있는 게 있어서 정리 하려고 한다. 1. wed cache란? -사용자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할 때 원래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그와 함께 프록시 서버에 정보가 저장된 파일을 말한다. 동일한 서버에 다시 접근할 때에는 근처에 있는 프록시 서버의 웹 캐시에 저장된 정보를 불러오므로 더 빠른 열람이 가능하다. 2. client cache? -이미지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크기 때문에 서버측 부하도 크고, 응답속도도 증가 할수 있다. 또 그에 따른 네트워크 비용도 상승하게 된다. -이러한 것을 줄이기 ..
web
2019. 5. 9. 14:37